흔한 캐나다 이민자 아줌마의 이민 육아 이야기
캐나다 현지 이민 법률 회사 3년 경력 아줌마의 캐나다 이민, 생활, 육아, 힐링 관련 정보 공유 블로그.
캐나다 이민/유용한 정보들 (45)
알기 쉬운 캐나다 이민 용어 정리 1탄(Implied status, Restoration)



캐나다 이민시 자주 쓰는 용어지만 뜻을 잘 알 수 없는 용어에 대해 알려드리겠습니다. 


[1] AIP: 연방에서 파일넘버를 받은 상태를 뜻합니다. 연방정부에서 1차 서류 스크린을 통과하면 개인별 application number를 이메일로 보냅니다. 이 단계를 AIP 라고 하며 만약 본인 work permit 기간이 120일 이내로 남은 상태라면 Bridge Open Work Permit을 신청할 수 있습니다. 


[2] CLB: 캐나다에서 지정한 영어 수준 측정 기준입니다. CELPIP이라는 캐나다 주관 영어시험과 레벨이 동일하며 IELTS 시험과는 레벨 차이가 있습니다.  IELTS 점수를 CLB로 변환해놓은 표에 의하면 IELTS 6 수준이면 CLB 7과 같습니다. (영역별 상세 변환은 아래 표 참조)


[IELTS General CLB 기준 변환표]

[3]DLI: 캐나다 이민청에서 지정한 교육기관 목록입니다. 고등학교 이전까지 과정은 모두 DLI에 속하므로 따로 목록화 하지 않습니다. 본인이 등록한 학교가 DLI 에 속해있는지 확인하시려면 아래 바로가기로 확인해주세요. 


DLI 지정학교 확인하러 바로가기◀

[4]Implied Status: 임시 (취업, 학업, 방문) 허가서(Work Permit, Study Permit, Visitor Record)를 받은 사람이 현재 허가가 만료되기 전에 연장 신청을 할 경우, 결과가 나오기 전까지 이전 허가서의 지위를 유지한다는 의미 입니다. 예를들어 Work Permit의 유효기간 만료 전에 연장 신청을 하면 승인/거부가 나오기 전까지는 합법적으로 일을 할 수 있습니다.


[5] Restoration: 캐나다내에서  임시 (취업, 학업, 방문) 허가서(Work Permit, Study Permit, Visitor Record)를 받은 사람이 만료 90일 안에 본인 상태를 회복할 수 있는 권리 입니다.  레스토레이션 비용은 200불이며, 왜 비자가 만료되고 머물러야 했는지 합리적인 이유를 제시해야 합니다. 

예를들어 2월 28일 Work Permit이 만료된 사람이라면 5월 28일까지 신분 회복을 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집니다. 

이외에 다른 용어를 알고 싶으시면 아래 CIC 홈페이지 용어 정리 바로가기를 참고해주세요.


캐나다 이민 용어표 전체 정리 바로가기.◀


  Comments,     Trackbacks